본문 바로가기

지구별 누비기

아르헨티나에서 실컷 쇠고기를 먹었다

도시는 저마다의 색을 지녔다. 정확히 말하면 여행자 각자의 경험이 도시의 색을 정한다. 나는 아르헨티나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를 '빨간색'으로 기억한다.

탱고의 본고장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는 어디서건 탱고에 심취한 이들을 볼 수 있다.


여행 6개월째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도착한 나는 지칠 대로 지쳐 있었다. 1년 여정의 딱 절반을 소화했을 뿐인데, 심신에 쌓인 피로가 꽤나 깊었던 모양이다. 역시 낯선 곳을 떠도는 일이란 쉽지 않다.

나는 스스로에게 휴가를 주기로 했다. 여행 중에 휴가? 뜬금없이 들릴지 모르겠다. 하지만 장기여행자에겐 여행이 곧 일상이다. 업무에 시달린 직장인에게 재충전의 시간이 필요하듯 여독에 찌든 장기여행자 역시 적절한 시기에 쉼표를 찍어야 한다.

아르헨티나의 자유분방함을 잘 드러내는 거리의 조각상.

이런 이유로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머무는 동안 내 달력은 온통 '빨간 날'이었다. 긴 호흡으로 거침없이 써내려가던 산문 같은 여행 대신, 여백과 운율을 살린 시 같은 여행으로 고단함을 씻기 위해.

가장 먼저 취침과 기상 시간에 대한 속박을 풀었다. 온종일 숙소에서 하릴없이 뒹굴 거리다가 늘어지게 잤다. 주홍글씨처럼 아로새겨진 피로를 지우기 위해 자고 또 잤다.

숙면과 함께 식사에도 신경을 썼다. 빵 조각이나 면으로 대충 끼니를 때워온 터라 여행 6개월 만에 몸무게가 10kg가까이 줄었다.

기력을 회복하기 위해 선택한 메뉴는 쇠고기. 웬 호사냐 반문하신다면 오산이다. 아르헨티나에서 쇠고기는 상상을 초월할 만큼 싸다. 우리 돈 3000원이면 질 좋은 안심과 등심 살코기 1인분(400~500g)을 너끈히 살 수 있다. 고기질은 십 수 만 원을 호가하는 한국 레스토랑의 쇠고기 스테이크 부럽지 않다.

'빨간' 육질 위에 눈꽃처럼 퍼진 마블링, 하루도 거르지 않고 나는 쇠고기를 먹었다. 스테이크에 지치면 아르헨티나 전통 쇠고기 바비큐인 아사도를 즐겼다.

쇠고기엔 늘 와인을 곁들였다. 역시 우리 돈 2000원이면 양질의 '신의 물방울'을 마음껏 마실 수 있다. 잔에 한 가득 담긴 '빨간' 와인은 심신에 깃든 여독을 녹였다.

값싸고 품질 좋은 아르헨티나 산 쇠고기와 와인은 가난한 배낭여행자를 흐뭇하게 했다.


쇠고기와 와인을 먹는 내내 의아한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는 왜 이토록 값싸고 품질 좋은 아르헨티나 산 쇠고기를 수입하지 않을까? 게다가 아르헨티나에서 사육하는 소는 광우병 위험이 전혀 없지 않은가. 이곳에선 도심을 조금만 벗어나도 청정한 풀을 뜯는 소떼를 쉽게 볼 수 있다. 광우병의 원인인 동물성 사료는 먼 나라 얘기인 셈. 미국도 광우병 위험을 인지한 직후 아르헨티나 산 쇠고기를 수입하고 있는 마당에 정작 우리는…, 아무튼 세상엔 소시민의 상식으로 이해하기 힘든 일이 참 많다.

먹고 자는데 지치거나, 무료함이 찾아올 때면 시내에 탱고 공연을 보러 나갔다. 물론 공짜다. 탱고의 본고장답게 부에노스아이레스 어디서든 쉽게 탱고를 접할 수 있다. 노천카페, 공원, 길거리 할 것 없이 4분의 2박자의 탱고선율에 맞춰 몸을 섞는 커플이 지천에 널렸다. '빨간' 립스틱을 바르고 허벅지까지 갈라진 '빨간' 원피스를 입은 여성과 새하얀 셔츠에 '빨간' 장미를 입에 문 남성의 몸짓, 탱고는 역시 정열과 매혹의 춤이었다.

쇠고기 스테이크를 썰고, 와인을 마시고, 탱고를 보는 동안 열흘은 쏜살같이 흘렀다. 잘 쉬고, 잘 먹은 덕에 볼과 배에 살집이 올랐다. 피로가 걷힌 자리에 희미해져 가던 역마살이 들어찼다. 붉은 도시를 떠나 다시금 길 위로 나설 때다.

문화의 도시답게 부에노스아이레스 시내 곳곳에는 행위예술을 하는 젊은이들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