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자동차 종단을 마쳤다. 동남쪽 멜버른을 떠나 캔버라, 시드니, 골드코스트, 브리즈번 등 3개 주 5개 도시를 여행한 지 한 달만이다. 여행 중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을 만났다. 이민자가 세운 나라인 만큼 호주는 다민족·다문화를 지향한다. 1800년대 중반 골드러시(Gold Rush)가 촉발한 이민 행렬은 이제 금광 대신 '삶의 여유'를 찾아 몰려드는 이들이 그 바통을 이어가고 있다.
'작은 지구촌' 호주에는 한국인, 그중에서도 청년이 많았다. 이들은 보통 세 부류로 나뉜다. 학위를 위해 '유학생 비자'를 발급받은 이들, 농장 등지에서 일을 하기 위해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소지한 이들, 그리고 따로 비자가 필요 없는 배낭여행자.
높은 파도와 황금빛 백사장 덕에 서퍼들의 천국이라 불리는 골드코스트의 '서퍼스 파라다이스'. 세계 각지에서 몰려드는 젊은이들로 늘 북적이는 '작은 지구촌'에서 한국 청년의 현주소를 읽을 수 있었다.
지난 한 달 동안 한국 청년과 마주하며 느낀 바가 컸다. 특히 여러 가치관이 상존하는 호주인지라, 타국 청년과의 비교를 통해 세계 속 한국 젊은이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우선 한국 청년은 자립심이 약하다. 호주로 유학 온 많은 학생이 집에서 학비와 생활비를 지원받고 있다. 대학생활 혹은 그 이후에도 부모가 뒷바라지하는 게 일상적인 한국에선 낯설지 않은 풍경이다.
외국서 부모 지원으로 호화생활하는 '캥거루 족'
하지만 많은 외국인이 이를 보고 고개를 갸웃거린다. 어느 날, 여행 중 만난 호주 청년 앤드류(24)가 던진 질문에 얼굴이 화끈거린 적이 있다.
"한국 부모들은 다 부자야? 왜 성인이 된 자식에게 돈을 보내주지? 언제까지 집에서 보살펴 주는 거야? 꼭 캥거루 같잖아. 어미 주머니 속에서 사는."
5년 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부모로부터 독립한 앤드류는 현재 빵집을 운영 중이다. 그동안 차곡차곡 돈을 모아온 그는 올해 말 약혼을 앞두고 있다. 앤드류처럼 대부분의 서구 청년은 십대 이후 제 살길을 찾아 나선다.
자립심과 겉치레는 '반비례' 한다. 스스로 벌어 쓰지 않는 한국 청년은 겉치레에 신경을 많이 쓴다. 10여 명의 외국인이 모여 사는 사촌동생 집에 'RICH GUY'란 별명을 가진 한국 학생이 있다. 우리말로 하자면 '부자 녀석'쯤 될까.
그가 그런 별명을 얻은 것은 겉치레 때문. 이제 20대 초반인 이 학생은 얼마 전 3000만 원이 넘는 일제 승용차를 샀다. 물론 부모가 사준 차다.
그가 고가의 차를 산 이유는 간단하다. 자신의 한인 친구들이 모두 그 정도 수준의 차를 몰고 다니기 때문이란다. 그는 '꿀리기 싫다'('지기 싫다'는 의미의 속어)는 말을 입버릇처럼 달고 다녔다.
호주에서 차는 필수품이기에, 대부분의 청년이 자가 차를 소유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학생처럼 새 차, 그것도 고가의 차를 사는 경우는 드물다. 보통 오래된 중고차를 싸게 구입, 'PICK UP PART'란 폐차 공장에서 필요한 부품을 사다 직접 차를 관리한다. 스스로 벌어 쓰는 만큼, 이들은 저렴하고 실용적인 차를 선호한다.
세계청년대회(World Youth Day)가 열린 퀸즐랜드 브리즈번에서 각국의 청년들이 열정적으로 행진하고 있다.
또한 한국 청년은 상당히 폐쇄적이다. 이는 파티 문화가 발달한 호주에서 더욱 도드라진다. 금빛 해안으로 유명한 골드코스트를 여행할 때다.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농장 일을 하는 이들과 배낭 여행객이 뒤섞인 숙소에 묵었다.
저녁에 파티가 열렸다. 호주에서 파티의 개념은 우리가 생각하는 거창한 모임이 아니다. 각자 준비해 온 먹을거리를 앞에 두고 담소를 나누는 게 전부다.
파티선 '꿔다 놓은 보릿자루'…폐쇄성 극복해야
파티는 정보를 교환하거나 다른 나라 친구와 사귈 좋은 기회다. 하지만 유독 한국 청년은 파티를 꺼린다. 설사 마지못해 참석하더라도, 한인끼리 모여 '꿔다 놓은 보릿자루'가 되기 일쑤다.
폐쇄성은 사람을 소극적으로 만든다. 자동차 종단 중 경험한 한 국제행사에서 한국 청년의 모습이 그랬다. 천주교가 주최한 세계청년대회(World Youth Day). 호주에서 열린 역대 단일 대회를 통틀어 가장 큰 행사인 WYD는 대륙 전체를 축제 분위기로 물들였다.
운 좋게도 사촌동생과 나는 세계 각국에서 모인 수 만 명의 청년이 퀸즐랜드의 주도 브리즈번에서 행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세계청년대회(World Youth Day)가 열린 퀸즐랜드 브리즈번에서 각국의 청년들이 열정적으로 행진하고 있다.
각 국 청년들은 저마다 넘치는 열정으로 행진을 이끌었다. 자국 국기를 두르고 무동을 타거나, '페이스 페인팅'을 한 채 노래와 춤을 선보이기도 했다. 여기저기서 나라별 국기가 휘날렸지만, 눈을 씻고 찾아 봐도 태극기는 없었다. 한국 청년들은 삼삼오오 흩어져 '쥐죽은 듯' 입장하고 있었다. 답답한 마음에 사촌동생과 함께 고래고래 소리쳤다. "한국 파이팅!"
쭈뼛쭈뼛 우리 쪽으로 고개를 돌리던 몇몇이 이내 얼굴을 붉히더니 걸음을 재촉했다. '작은 지구촌'에서 목도한 한국 청년의 모습은 이처럼 작고 초라했다. 왜일까? '단일민족'이란 지극히 폐쇄적인 개념을 마치 우월적인 가치인 것처럼 배워온 탓일까.
승자가 독식하는 무한경쟁체제에 길들여져 마음을 열 여유가 없는 탓일까. 체면과 겉치레를 중시하는 한국의 풍토 탓일까. 이도 저도 아니라면 원래 한국 청년의 깜냥이 그것 밖에 안 되는 것일까.
한국 청년의 범주에 속하는 나 역시 이러한 지적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 글은 한국 청년에게 고하는 글이자, 나 스스로에 대한 반성문이기도 하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글 잘 보았습니다. 한국 청년들의 문제점을 잘 지적해주셨네요^^
호주청년이라는 앤드류 예를 드셨는데요. 호주청년이 호주에서 자립해서 사는 것과 공부를 목적으로 한국에서 유학을 간 유학생의 모습을 비교하신 건 조금..^^;; 그리고 한국 부모들의 자식들에 대한 과잉보호도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과연 한국유학생 중 본인 스스로 유학을 결정한 친구가 몇명이나 될까요? 또 말씀하셨듯이 10대부터 독립해서 살아가는 서구 청년들.. 서구문화가 그래왔으니 자연스레 체득된 것이겠지요. 마지막으로 파티문화.. 물론 영어권 친구들은 대화에 문제가 없고 자신들의 나라에서도 파티문화가 발달해 있으니 자연스레 어울릴 수 있겠죠. 하지만 대부분 완벽한 언어(호주니 영어겠죠?)를 구사하지 못하고 또 파티문화에 익숙하지 못한 한국유학생들은 제대로 적응을 못하는게 아니라 정말 파티에 끼고 싶어도 눈치를 보게 될 겁니다. 한국 유학생의 정신상태나 자립심에 문제가 있다고 치부하기에는 좀 억울한 부분도 있겠다 싶어 적고 갑니다. 태클은 아니고 제 소견을 끄적거린 것이니 귀엽게 봐주세요^^ (멜번에 몇년 살다 온 어느 네티즌이..^^)
언어는 그럴수록 부디치고 도전해야 된다고 생각하는데요...얌전하게 외국어를 배울수도 있지만 우리 모국어가 아닌 이상은 처음부터 완벽한 외국어란 있을수 없다고 봅니다...어린아이가 모국어를 배울때 처움부터 완벽하게 구사하지는 못하죠...
ThePoktAn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파티에 어울리지 못하는 것은 문화와 언어의 상이성이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20여년 넘게 주입식 교육에 시달리고 책상에 앉아서 공부만 하다보니 술이 많이 들어가지 않으면 서로 잘 어울리지 못하죠. 특히나 영어로 가득 찬 환경에서는 고등학교 때까지 영어를 공부했음에도 어울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저 역시 이 문제로 많은 고민을 했지만 벽을 깨는 것과 용기를 낸다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는 합니다. 다른 지역을 많이 여행 보셔서 아시겠지만 영어권이 아닌 나라를 여행 할 때는 한국 사람들 역시 외국인과 잘 지내기도 합니다 -물론 그보다 서로 한국 사람을 찾아 다니는 문제점이 있기도 하지요-
또한 서양에서는 고등학교만 마치면 부모님 지원 없이 산다고 생각하시는데, 이건 고정관념에 의한 사고입니다. 그들과 사회 시스템이 대해서 조금만 깊은 이야기를 하셔도 현실을 아실 수 있습니다. 서양의 대학생들도 기본적인 것은 자신이 해결하지만 목돈이 들어가는 상당수의 일은 부모님에게 의존을 합니다. 사실, 서양의 부모님이 자식을 지원하고 싶어도 그럴 여력이 많지 않습니다. 한국과는 다르게 모기지라는 금융시스템이 발전한 서양에서는 자기 돈이 아닌 남의 돈으로 집을 사게 됩니다. 자신이 3천만원 있으면 2억의 집을 살 수 있고 자신이 가진 3천만원조차 다시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갚을 여력만 된다면 집을 공짜로 살 수 있다는 것이지요. 이러한 제도로 집을 가지게 된 사람들은 월급의 대부분이 집 대출을 충당하는 것으로 들어갑니다. 월급을 타서 집값도 각종 공과금과 세금을 내면 겨우 생활비만 남는 집이 태반입니다. 그래서 의무교육이 끝나게 되서 대학을 들어가게 되면 등록금을 부담해 줄 여력이 집에 없게 됩니다. 이 때부터 대학생들은 또 학자금 대출에 시달리게 되지요. 대학에 들어가자마자 빚에 시달리게 되는 것이지요. 사실 자립심을 길러주기 위한 이유가 아니라 사회 시스템이 이렇게 돌아가기 때문에 자식을 지원해주고 싶어도 지원을 해 줄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서양의 청년들이 큰 일에는 부모님의 지원을 받습니다-
그래도, 체면만 내세우는 한국 문화는 근절되어야 한다는 의견에는 동갑입니다. 젊은 사람들이 모험심은 없고 갈수록 부모탓만 해서 큰 일이라고 생각되네요.
좋은 읽기 실제로 매우 흥미로운 기사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