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에 수제비를 먹었습니다. 일명 '항아리 수제비', 항아리만큼 커다란 그릇에 한가득 담긴 수제비가 참 맛났습니다. 문득 히말라야 중턱에서 먹었던 '뗌뚝'이 떠오릅니다.
추억의 부스러기 네번째 이야기……
향신료가 강한 인도 음식에 슬슬 진저리가 처질 즈음, 다람살라(티베트 망명정부가 있는 히말라야 중턱의 고산 도시)에 도착했다. 티베트를 그대로 옮겨놓은 만큼 먹거리 역시 티베트 전통음식이 주류를 이뤘다.
티베트 음식은 한국인의 입맛에 잘 맞다. 우리네 청포묵을 빼다 박은 ‘라핑’을 비롯해 수제비와 흡사한 ‘뗌뚝’, 칼국수를 닮은 ‘뚝빠’, 만두와 비슷한 ‘모모’ 등 식욕 잃은 한국여행자에게 다람살라는 ‘미각재활훈련센터’같은 곳이다.
한날 이곳저곳을 쏘다니다 라핑을 파는 노점을 발견했다. 히말라야 산중턱에 자리해 조금만 움직여도 체력소모가 많은 탓에 무척 허기진 상태였다. 라핑 한 그릇을 게 눈 감추듯 뚝딱 해치우고 또 한 그릇을 시켰다. 먹는데 정신팔려있던 나를 주인아주머니가 빤히 쳐다본다. 그러더니 바닥을 드러낸 그릇에 라핑을 한 가득 담아주며 웃는다. 그렇게 서 너 그릇을 비우고야 포만감이 밀려왔다.
돈을 내미는데 아주머니가 한사코 한 그릇 값만 받겠단다. 실랑이 끝에 두 그릇 값을 지불하기로 했다. 음식 맛 뿐 아니라 후덕한 인심 또한 한국의 그것을 닮았다.
다람살라에 머무는 내내 그 집을 찾았다. 영어를 못하는 아주머니와 티베트어를 못하는 나, 우리는 늘 말이 없다. 아주머니는 멀리서 내 모습이 보이면 큰 대접에 라핑을 듬뿍 담아 놓는다. 바닥이 보일라치면 다시금 라핑을 퍼 담기를 반복하고는 씩 웃는다. 라핑을 입 한 가득 우겨넣은 채로 나도 웃는다. 우리는 그렇게 말없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세상에서 가장 진솔하고 따뜻한 대화였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히말라야에서 먹는 수제비 맛이란 정말 최고겠어요!^^
정말 꿀맛이었답니다.^^
진짜 수제비네^-^
맛도 똑같아요^^
11 2009.08.30 14:32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참으로 마지막 글 훈훈합니다.
감사합니다^^
로즈마리 2009.08.31 10:28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전 모모가 더 맛있어 보여요 ~~;;ㅎㅎ
보기에는 수제비 빈죽을 해서 넣은게 아니라 후라이팬 같은데다가
살짝 익혀 잘라서 넣은것처럼 보이네요
우쨌든 맛나보입니다 ~~^^
모모도 맛있답니다. 생긴 건 울 수제비랑 조금 다른데 암튼 맛은 거의 비슷했죠^^
퐈머 2009.09.03 16:28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그래도 천원을 선불로 내고 먹는 만두가 더 맛있을 듯
ㅋ 옛 생각나네요. 요새 호흡엔 문제 없으신지?
맨큐 2009.09.04 16:01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우와..맛있겠다..
집에 가서..수제비 해먹어야겠다..^^
아주머니도 우리네 엄마같고..탄타로스님 정말 부러워요..
수제비 드셨나요?^^
맛있어 보이네요...
저도 언젠가 꼭 가서 먹고 싶네요^^
네 정말 맛납니다. 꼭 드셔보시길^^
보라곰 2009.09.08 10:49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우와~아주머니의 인심! 음식을 파는게 아니라 정을 팔고 계셨네요.
이런것이야 말로 인지상정인데 현실은 그것이 너무 메말랐죠?
그마음이 너무나 감사하고 귀하네요^^ 여행다니시면서 배는 고팠겠지만 인정은
듬뿍 느끼고 오셨겠어요~
당시 기억 떠올릴 때마다 마음이 짠해집니다. 우리나라에선 점차 사라져가는 풍경이라 더 그러네요.^^
한국사람 입맛에 딱맞는 군여, 재밌네여